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vc
- 기초문법
- snkit
- swift
- 네트워크
- 실습
- 구름톤 유니브
- WeatherKit
- observable
- collectionview
- ios
- CS
- 캐시
- 스트럭트
- 동시성
- 옵셔널
- struct
- async
- 학과별커뮤니티
- 세종대학교
- 반응형
- 토이프로젝트
- 프로토콜
- 이론
- uikit
- 대표
- SwiftUI
- Kingfisher
- 라이브러리
- RxSwif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15)
스윞한 개발자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CS 네트워크 마지막 포스팅 애플리케이션 계층인 HTTP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 HTTP1) HTTP/1.0*RTT : 패킷 목적지 -> 출발지 까지의 왕복 시간 1.0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연결 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RTT가 증가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번 연결할 때마다 RTT가 증가하기에 스플리팅, 코드 압축, 이미지 Base64 인코딩 등을 사용했습니다. - 이미지 스플리팅많은 이미지를 다운 받게 되면 과부하되기 때문에 많은 이미지가 합쳐 있는 하나의 이미지를 다운 받고, 이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 코드 압축개행, 빈칸 등을 없애 코드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 이미지 Base64 인코딩이..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네트워크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 네트워크 기기1.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범위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불가합니다. 2.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로 L7 스위치가 있습니다.(L7 - 로드밸런서 : 여러 장비 연결, 데이터 통신 중재,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 데이터 전송, 서버 부하 분산) 트래픽 증가 목표, 필터링 기능, 주기적(정기적) 헬스 체크(전송주기/재전송 횟수 지정 반복 서버 요청)를 통해 장애 감시 vs L4(로드 벨런서) 보다는 더 많은 기능! * 로드밸런서를 이용한 서버 이중화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2대 이상의 ..

이번 포스팅에서는 CS 네트워크의 기초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네트워크는 컴퓨터의 장치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하는 연결망입니다. # 네트워크의 기초노드,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을 말합니다. (노드 : 서버/링크/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링크 : 유/무선) * 처리량과 지연 시간좋은 네트워크 : 많은 처리량, 짧은 지연시간, 적은 장애 빈도,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 - 처리량 : 링크 내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 ( 대역폭 :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 지연 시간 : 요청 처리 시간, 장치 간 왕복 시간. 지연시간은 매체 타입(유/무선), 패킷 크기, 라우터의 패킷 처리 시간에 영향을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CS 이론 포스팅에서 정리했던 디자인 패턴과 더불어 남은 디자인 패턴에 대해 정리하고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이터레이터 패턴이란? 이터레이터를 사용하여 컬렉션의 요소들에 접근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순회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자료형의 구조와는 상관없이 이터레이터라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순회가 가능합니다. * 이터레이터 프로토콜이터러블한 객체들을 순회할 때 쓰이는 규칙 * 이터러블한 객체반복 가능한 객체로 배열을 일반화한 객체 2. 노출모듈 패턴이란?즉시 실행 함수를 통해 private, public, 같은 접근 제어자를 만드는 패턴을 말합니다. * public : 클래스에 정의된 함수에서 접근이 가능하며 자식, 외부 클래스..

이번에 네이버 부스트캠프를 도전하면서 CS에 대한 지식의 필요성을 느껴 CS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CS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지적바랍니다! 1. 디자인 패턴디자인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먼저 용어 정의를 하고 가겠습니다. * 라이브러리 : -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정한 기능을 모듈화한 것 - 폴더명, 파일명 등에 대한 규칙이 없으며, 프레임워크에 비해 자유로움 * 프레임워크 : -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정한 기능을 모듈화한 것 - 폴더명, 파일명 등에 대한 규칙이 존재. 라이브러리보다 더 엄격. 디자인 패턴이란?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객체 간 상호 관계 등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 1. Combine 이란?반응형(Reactive)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기반으로 개발된 프레임워크입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은 데이터 스트림과 변화의 전파에 관련된 선언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입니다. 1. 데이터 스트림(반응형 프로그래밍) - 시간에 따라 만들어진 일련의 이벤트 ex ) 탭 이벤트 스트림 2. 선언형 프로그래밍 - "무엇(What)"에 집중 - 결과에 집중하도록 구체적인 행위에 집중 - 행위를 정의하고 그 행위에 데이터를 전달 - 가독성과 유지보수 향상 * 반응형 프로그래밍 기반 패턴 Observer Pattern관찰자 : 주체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주체를 구독주체(대상) : 관찰자에게 상태가 변할때마다 알림 # Combine 정의 살펴보기From WWDC, A unifi..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LLDB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 LLDB(Low Level Debugger) 먼저 공식 홈페이지부터 파해쳐 보겠습니다! https://lldb.llvm.org 🐛 LLDB Next Tutorial lldb.llvm.org LLDB란? - LLVM의 디버거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애플의 서브 프로젝트 - 디버거 - 디버깅 도구 - Xcode에 들어있는 도구 먼저 LLDB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 LLVM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LLVM LLVM은 Apple에서 진행한 컴파일러에 필요한 Toolchain 개발 프로젝트입니다. 각 컴포넌트들의 재사용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모듈화가 잘 되어있습니다. LLDB는 LLVM의 Debugger Component를 개발하는 ..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앱 생명주기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왜 지금에 와서야 앱 생명주기를 포스팅하냐면,,, 제가 요즘 기초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어서 다시 처음부터 다시 보고 있답니다! 또 처음부터 다시 보면 제가 몰랐던(놓치고 있던)것들을 발견하지 않을까 싶어서 다시 공부하고 정리하는 중입니다. 먼저 공식문서부터 보시죠!!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uikit/app_and_environment/managing_your_app_s_life_cycle Managing your app’s life cycle | Apple Developer Documentation Respond to system notifications when your app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