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Kingfisher
- 네트워크
- 세종대학교
- 동시성
- 대표
- 반응형
- MVVM
- 스트럭트
- struct
- GCD
- 실습
- CS
- WeatherKit
- 학과별커뮤니티
- 기초문법
- SwiftUI
- 프로토콜
- collectionview
- uikit
- 앱개발
- ios
- async
- mvc
- swift
- 토이프로젝트
- 이론
- 구름톤 유니브
- RxSwift
- Optional
- 옵셔널
- Today
- Total
목록SwiftUI (3)
스윞한 개발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xefa5/btsITPPkTxp/pg6cWoB0dKGkWRwE9qOX6k/img.png)
# 1. Combine 이란?반응형(Reactive)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기반으로 개발된 프레임워크입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은 데이터 스트림과 변화의 전파에 관련된 선언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입니다. 1. 데이터 스트림(반응형 프로그래밍) - 시간에 따라 만들어진 일련의 이벤트 ex ) 탭 이벤트 스트림 2. 선언형 프로그래밍 - "무엇(What)"에 집중 - 결과에 집중하도록 구체적인 행위에 집중 - 행위를 정의하고 그 행위에 데이터를 전달 - 가독성과 유지보수 향상 * 반응형 프로그래밍 기반 패턴 Observer Pattern관찰자 : 주체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주체를 구독주체(대상) : 관찰자에게 상태가 변할때마다 알림 # Combine 정의 살펴보기From WWDC, A unif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LVx8t/btsD9CFuRy7/3KRMdmbTxJxRkSF95sxgJ0/img.png)
SwiftUI에서 MVVM 패턴으로 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퍼티 래퍼를 활용하는게 중요합니다! 여러 프로퍼티 래퍼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ㅎㅎ SwiftUI의 Property Wrappers 1. @State SwiftUI에서 상태를 처리하는 방법 뷰의 상태를 저장하는 프로퍼티로 상태 관리 주체는 해당 뷰 기본적으로 Private 선언, 다른 뷰와 값을 소통하려면 Binding이용 값이 변경될 때마다 UI 업데이트 2. @Binding 뷰의 상태를 바인딩하는 방법 상위 @State 변수 전달받아 하위 뷰 캐치, 변화감지/연결 Binding은 다른 뷰가 소유한 속성을 연결하기 때문에 소유권/저장공간 X 3. ObservableObject 클래스 프로토콜로 관찰하는 어떠한 값이 변경되면 변경사항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WSrXe/btsD9AAUr4I/siS529voDZHQg6YyzjWqrK/img.png)
SwiftUI와 UIkit 중에서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SwiftUI의 특징과 장점/단점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SwiftUI란? 특징 SWift 언어로 모든 플랫폼에서 앱에 대한 UI와 동작을 선언해주는 프레임워크 (아이폰, 아이패드, macOS, 비전OS) 상태 중심 프레임워크 Xcode 12, ios 13 이상부터 지원 Less code, Better code, EveryWhere(어디서든 적은 코드로 더 나은 앱을 개발하자) 장점과 단점 장점 선언적 구문 : 어떻게 보다 무엇을 하고 싶은지 선언하고 시스템이 선언에 따라 자동으로 처리 간결한 코드로 가독성 향상 및 유지보수 용이 손쉬운 View 조합을 통한 구현 : 레고 Modifier Chaning을 통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