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vc
- struct
- WeatherKit
- swift
- 기초문법
- SwiftUI
- 세종대학교
- 네트워크
- Optional
- collectionview
- CS
- 구름톤 유니브
- GCD
- 반응형
- Kingfisher
- 스트럭트
- RxSwift
- async
- 옵셔널
- 토이프로젝트
- 학과별커뮤니티
- 앱개발
- MVVM
- 프로토콜
- 이론
- 대표
- 실습
- ios
- uikit
- 동시성
- Today
- Total
목록기초문법 (33)
스윞한 개발자

이번 포스팅은 간단한 스위프트 기초문법입니다 !! 자료형을 체크하고 캐스팅하기 위한 문법들입니다ㅎㅎ 스위프트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수나 상수의 자료형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1. is 연산자로 자료형 확인 'is' 연산자는 변수나 상수가 특정 자료형과 호환되는지 확인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연산자는 부울 값을 반환합니다. let value: Any = 5 if value is Int { print("value is an Int") } else if value is String { print("value is a String") } else { print("value is of an unknown type") } 2. as 연산자로 타입 캐스팅 'as'연산자는 변수나 상수의 자료형을 변환하는데 사용됩니다...

스위프트에서 프로토콜 조건은 제네릭 타입의 제약 조건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제네릭 함수나 타입을 선언할 때, 특정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타입만을 제네릭으로 받도록 제한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func someFunction(parameter: T) { // 함수 내용 } struct SomeStruct { // 구조체 내용 } 와 는 제네릭 타입 T가 각각 SomeProtocol와 AnotherProtocol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타입으로 제한되도록 정의한 것입니다. func findIndex(of valueToFind: T, in array: [T]) -> Int? { for (index, value) in array.enumerated() { if value == valueToFind {..

스위프트에서의 toggle은 부울 값을 반전시키는 메서드입니다. toggle은 주로 불리언 변수나 프로퍼티의 값을 반전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var isOn = false isOn.toggle() // 이제 isOn은 true가 됨 class ToggleExample { var isEnabled = true func toggleState() { isEnabled.toggle() } } isEnabled 프로퍼티의 값을 toggle 메서드를 호출함으로써 반전시킬 수 있습니다. Collection 프로토콜을 채택한 컬렉션(배열, 집합 등)의 요소들 중에서 특정 값을 반전시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var numbers = [1, 2, 3, 4, 5] let index = 2 numbers[index]..

싱글턴 패턴! 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싱글턴 패턴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어떤 클래스가 단 하나의 인스턴스만을 생성하도록 보장하는 패턴입니다. 이 인스턴스는 어디서든 접근 가능하며, 전역적으로 공유되는 자원을 관리하거나 중복 생성을 피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class Singleton { static let shared = Singleton() // 유일한 인스턴스를 저장하는 정적 속성 private init() { // 초기화 코드 } func someFunction() { // 메서드 내용 } } 위의 코드에서 shared 라는 정적 속성을 사용하여 유일한 인스턴스를 생성하고자 저장합니다. 생성자 private init()를 통해 외부에서의 직접적인 인스턴스..

struct 기본 생성자! 포스팅해볼게요 ㅎㅎ 스위프트에서 struct는 값 타입을 정의할 때 사용되는 키워드입니다. struct는 클래스와 달리 값 복사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며, 기본 생성자를 자동으로 제공합니다. 기본 생성자는 모든 프로퍼티에 초기값이 제공되어 있거나, 옵셔널 프로퍼티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struct Point { var x: Int var y: Int } // 기본 생성자 사용 let origin = Point(x: 0, y: 0) print("x: \(origin.x), y: \(origin.y)") // x: 0, y: 0 Point 구조체는 'x'와 'y'라는 두 개의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조체는 기본 생성자를 자동으로 제공합니다. 이 기본 생성자는 ..

이번 시간에는 다양한 고차함수! 기초 문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ㅎㅎ 옛날 포스팅에서 정리한 고차함수 뿐만 아니라 훨씬 많은 종류의 고차함수가 많더라구요 차근차근 다 정리해볼게요! reduce는 스위프트의 고차함수 중 하나로, 컬렉션(배열, 딕셔너리, 세트)의 요소들을 결합하거나 축소하여 하나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함수입니다. 주로 초기값과 클로저를 활용하여 컬렉션 내의 요소들을 반복하면서 연산을 수행합니다. reduce 기본 형식 func reduce(_ initialResult: Result, _ nextPartialResult: (Result, Element) throws -> Result) rethrows -> Result initialResult : 연산의 초기값으로 사용될 값입니다. nextP..

이번 포스팅에서는 콜렉션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스위프트에서 콜렉션을 합치는 방법은 다양한 메서드와 연산자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주로 배열과 딕셔너리를 합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콜렉션을 생성하거나 기존 콜렉션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배열 합치기 let array1 = [1, 2, 3] let array2 = [4, 5, 6] let concatenatedArray = array1 + array2 print(concatenatedArray) // 출력: [1, 2, 3, 4, 5, 6] var array1 = [1, 2, 3] let array2 = [4, 5, 6] array1.append(contentsOf: array2) print(array1) // 출력: [1, ..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한 여러 Swift 기초 문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Dictionary grouping 스위프트에서 딕셔너리 grouping 기능은 컬렉션 내의 항목을 특정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딕셔너리 grouping 함수는 새로운 딕셔너리를 생성하며, 각 그룹의 키는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생성됩니다. let values = [1, 2, 3, 4, 5, 6, 7, 8, 9, 10] let groupedByEvenOdd = Dictionary(grouping: values, by: { $0 % 2 == 0 }) print(groupedByEvenOdd) 배열의 요소를 짝수와 홀수로 그룹화하여 새로운 딕셔너리를 생성합니다. 결과 [false: [1, 3, 5, 7, 9], true: ..